[Docker] docker image 생성 및 push
·
Infra
0. 서론여러 컴퓨터에서 동일한 환경 아래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docker를 사용한다.기존에 작업했던 Spring Boot 프로젝트를 dockerizing하는 과정을 기술한다.기본적으로 docker desktop 설치와 docker hub에 repository 생성법 등은 생략하고 진행한다.0-1. Dockerizing 순서Dockerizing을 하기 위한 일반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다.Dockerfile 작성.dockerignore 작성Docker image 생성 및 실행Docker image 푸시하지만 mysql 기반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도 생성하여 서버에서 db 연결까지 진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Dockerfile 작성배포용 설정 파일 작성.dockerignore 작성dock..
[Git·Github] 여러 Repository 하나로 합치기
·
Git·Github
0. 서론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백과 프론트에 각각 레포지토리를 만들었다.나중에 관리하기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하나로 합쳐보고자 한다.1. 방법1-1. 합칠 레포지토리 생성commit이 하나도 되어있지 않다면 subtree에서 에러가 날 수 있다.따라서, 레포지토리 생성 시 readme를 만드는 등 commit 기록을 1개 남겨놓아야 한다.1-2. 합칠 레포지토리 클론git clone {합칠 repo 주소}1-3. 레포지토리로 이동cd {repo 이름}1-4. 합쳐야 하는 레포지토리 추가git subtree add --prefix={repo 이름} {repo 주소} {브랜치 이름}1-5. 합쳐진 레포지토리 푸시git push origin
[Git·Github] GitLab 레포지토리를 GitHub로 옮기기
·
Git·Github
0. 서론SSAFY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들은 싸피 전용 GitLab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나의 기록을 남기기 위해 깃허브에 옮기려고 한다.1. 방법1-1. GibLab 레포지토리 클론git clone --mirror {gitlab repo 주소}1-2. 미러링한 레포지토리로 이동cd {gitlab repo 이름}.git1-3. GitHub로 푸시git push --mirror {옮길 github repo 주소}
[자료구조] 세그먼트 트리(Segment Tree)
·
CS/자료구조
0. 세그먼트 트리(Segment Tree)란?세그먼트 트리(Segment Tree)어떤 데이터가 주어질 때, 특정 구간의 결과값(구간합, 최댓값 등)을 구하는데 사용하는 자료구조세그먼트 트리는 이진 트리(Binary Tree)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정 구간의 결과값을 시간복잡도 O(logN)으로 빠르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또한, 자료의 수정이 빈번히 일어날 때, 사용한다. 이 게시글에서는 누적합을 구하는 세그먼트 트리 기준으로 설명을 한다.만약 구간 최대나 구간 최소를 알고 싶다면, 반환하는 부분만 수정하면 된다.1. 세그먼트 트리 알아보기1-1. 세그먼트 트리 생성(초기화)아래는 [5, 7, 6, 3, 1, 9]인 원본 배열로부터 만든 세그먼트 트리이다.파란 글씨는 해당 노드가 가리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