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OSI 모델 7 계층(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
·
CS/네트워크
0. 서론OSI 7계층은 ISO에서 만든 "참조" 모델이다.따라서, 네트워크의 정답이 아니며 프로토콜처럼 지켜야 하는 규약이 아님을 주의하자.1. OSI 7 Layer각 레이어에 맞게 프로토콜이 세분화돼서 구현각 레이어의 프로토콜은 하위 레이어의 프로토콜이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동작1-1.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애플리케이션 목적에 맞는 통신 방법 제공HTTP, DNS, SMTP, FTP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 방법을 결정하기 때문에 둘 사이에서 어떻게 데이터가 오고가게 만들 것인지는 해당 계층의 관심사가 아님아래 계층에서 결정하는 것이고 그것을 사용하기만 하면 됨1-2.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에서 메시지 포맷 관리인코딩 ↔ 디코딩암호화 ..
[네트워크] 웹 통신의 큰 흐름
·
CS/네트워크
0. 웹이란?WWW(World Wide Web)의 약자이며 인터넷으로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뜻한다.인터넷과는 엄연히 다른 개념으로, 인터넷이 더 상위 개념이다.인터넷: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해 네트워크와 기기 간 통신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들이 전세계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이루는 시스템이다.1. 웹 통신의 과정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URL을 입력한다.DNS 서버에서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변환한다.웹 브라우저가 IP 주소와 사용자가 입력한 URL 정보로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요청은 TCP를 통해 서버로 전송된다.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HTTP 응답을 전송한다.브라우저가 응답을 받아 웹 페이지를 렌더링한다.2. 부록HTTP (Hypertext Tra..
[네트워크] DNS(Domain Name System)
·
CS/네트워크
아래 부록에 용어정리를 해두었으니 모르는 단어가 있다면 참고하면 좋다.0. DNS(Domain Name System) 란?DNS(Domain Name System)은 호스트의 도메인 주소(http://www.google.com)를 IP 주소(142.250.196.110)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cmd에서 naver의 DN을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다.0-1. DNS가 필요한 이유사람은 IP 주소보다 Domain 주소를 더 쉽게 기억한다.IP 주소는 변경될 수 있지만 도메인 이름은 일관성을 유지한다.하나의 도메인으로 여러 서비스(웹, 이메일, FTP 등) 관리할 수 있다.0-2. 가벼운 동작 원리도메인 주소를 브라우저에 입력하게 되면, 도메인 주소들을 가지고 있는 네임서버(DNS ..